미국의 대각성 운동 (조나단 에드워즈, 전개, 비판, 부흥신학)
18세기 초, 신앙은 미국 식민지 사회에서 점차 형식적인 의식으로 전락해 가고 있었습니다. 교회 출석률은 낮아졌고, 신앙은 일상의 윤리적 구속력이나 공동체의 영적 중심으로서의 힘을 잃어가던 시기였습니다. 이때 나타난 대각성 운동(Great Awakening)은 단순한 부흥 집회의 연속이 아니라, 신학과 교회 역사 전체에 영향을 준 영적 회복 운동이었습니다. 이는 성령의 역사와 설교 중심의 갱신, 그리고 회개와 중생의 체험을 강조하는 운동이었으며, 이후 미국 개신교 신학의 틀을 결정지은 중대한 전환점이 됩니다.특히 조나단 에드워즈는 이 운동의 신학적 지주로서, 그 지성과 영성, 그리고 체계적 신학은 부흥의 표피적인 열광주의를 경계하면서도 성령의 내적 역사와 말씀 중심의 회심 경험을 강조하였습니다. 본 글에..
2025. 6. 16.
계몽주의와 신앙의 위기(이성, 신학 쇠퇴, 신앙 방어)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에 이르기까지, 유럽은 ‘빛의 시대’라 불리는 계몽주의 시대로 접어들게 됩니다. 과학 혁명, 철학적 합리주의, 인문주의의 확산은 전통적인 교회 중심 사회질서와 신앙 체계를 근본부터 뒤흔들었습니다. 사람들은 더 이상 신의 계시나 교회의 권위를 절대적인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았고, 이성에 기반한 탐구와 비판을 통해 진리를 탐색하려 했습니다.이러한 흐름은 신학과 교회에 커다란 위기를 초래했습니다. 성경에 대한 회의, 기적에 대한 부정, 조직신학의 해체 시도는 신앙을 개인적 윤리나 도덕 수준으로 축소시켰고, 계몽주의는 신학의 정체성과 정통성을 심각하게 흔들어놓았습니다. 루이스 벌코프는 이 시대를 “신학의 외적 방어보다는 내적 해체가 문제였던 시대”라고 분석하며, 계몽주의가 가져온 도전이 ..
2025. 6. 16.
스코틀랜드 개혁과 장로교의 뿌리 (존 녹스, 장로교, 칼뱅주의)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은 단순히 신앙적 전환의 사건이 아니라, 한 나라의 정치, 사회, 문화 전반을 뒤흔든 중대한 역사적 사건이었습니다. 종교개혁의 중심에는 존 녹스를 위시한 신앙의 개혁자들이 있었고, 그들은 칼뱅주의 신학을 뼈대로 하여 새로운 교회 구조를 구축하였습니다. 그 결과로 등장한 장로교는 스코틀랜드의 국교로 자리잡았고, 이후 전 세계에 퍼진 개혁교회들의 핵심적인 형태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이 글에서는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이 일어난 배경과 과정, 존 녹스와 개혁의 주요 사상, 그리고 장로교 제도의 신학적·역사적 정착에 대해 살펴봅니다. 또한, 이 흐름이 오늘날 개혁주의 신학과 교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도 함께 조망해보고자 합니다.1. 존 녹스, 스코틀랜드 개혁의 중심스코틀랜드는 중세 후기까지도 ..
2025.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