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교회의 제도화와 성례(제도화, 교황권, 성례)
중세는 단순히 어둠의 시대가 아니었습니다. 이 시기는 기독교가 단순한 신앙 공동체를 넘어 사회 전반을 규율하는 체제로 발전한 시기였습니다. 중세 교회는 로마 제국의 몰락 이후 유럽의 중심 조직으로 자리 잡으며, 권력의 공백을 대신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교회는 자신만의 질서와 법, 통치 구조를 세워갔고, 그 과정에서 제도화가 불가피하게 이루어졌습니다.이 글에서는 중세 교회의 제도화 과정을 제도화, 교황권, 성례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 세 가지 요소는 단순한 제도적 성장의 결과물이 아니라, 신학적 논의와 사회적 요구 속에서 형성된 복합적 결과입니다. 특히 루이스 벌코프, 조병하, J.N.D. Kelly, Jaroslav Pelikan의 연구를 중심으로, 중세 교회의 권위..
2025. 6. 13.
아우구스티누스와 은혜 교리 (자유의지, 원죄, 예정)
기독교 복음의 중심은 한 단어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바로 은혜입니다. 은혜란 하나님께서 아무런 자격 없는 인간에게 주시는 무조건적이고 일방적인 호의이며, 구속사 전체를 관통하는 하나님의 성품입니다. 초대 교회는 이 은혜의 개념을 설교하고 전했지만, 본격적으로 신학적으로 체계화된 것은 아우구스티누스(A.D. 354–430)를 통해서였습니다.아우구스티누스는 단순한 신학자가 아니라, 서방 교회의 교리를 결정지은 신학의 거장이었습니다. 특히 그는 인간의 자유의지와 타락, 원죄, 은혜, 예정에 대해 심오한 통찰을 제시했고, 이는 종교개혁자들, 특히 루터와 칼뱅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습니다. 펠라기우스와의 논쟁을 통해 아우구스티누스는 ‘전적인 타락’과 ‘전적인 은혜’라는 개념을 명확히 했고, 그의 사상은 개혁주..
2025. 6. 11.
삼위일체 교리의 기초와 형성 (성부, 성자, 성령)
기독교 신앙은 독특합니다.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한 분이시지만, 삼위로 존재하십니다. 이 교리는 오랜 세월 동안 교회 안에서 깊이 고민되고 고백되어 온 신앙의 중심입니다. 삼위일체는 기독교만이 가진 고백이며, 구약과 신약 전체에 걸쳐 계시된 하나님의 성품과 사역을 온전히 담아내는 신학적 표현입니다.하나님은 스스로 존재하시는 유일하신 분이지만, 동시에 성부, 성자, 성령으로 계십니다. 각각은 독립된 세 신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하나이신 하나님 안에 존재하시는 세 위격입니다. 이 교리는 인간의 이성으로 완전히 이해할 수 없지만, 성경 계시의 내용에 충실하게 반응한 고백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삼위일체 교리의 형성 배경과 각 위격—성부, 성자, 성령—에 대한 신학적 고백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를 순차적으로 살펴..
2025. 6. 11.
교리란 무엇인가 (진리, 체계, 고백)
교리(Doctrine)는 신학의 틀을 구성하는 중심 구조물이며, 교회가 믿는 진리를 분명히 밝히는 언어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교리’라는 말을 들으면 율법적이거나 딱딱한 개념을 떠올리곤 하지만, 사실 교리는 신앙의 내용을 명료하게 정리하여 다음 세대에 전수하고, 이단의 도전 앞에서 복음을 지키며, 교회 공동체를 하나로 묶는 생명의 질서입니다. 신학은 계시를 해석하는 학문이고, 교리는 그 해석이 공동체적으로 수용된 체계적 진술입니다.초기 교회는 교리 없이 신앙을 유지할 수 없었습니다. 교리란 단지 이론의 집합이 아니라, 무엇을 믿을 것인가를 분별하고 선포하기 위한 신앙적 고백의 언어였습니다. 사도신경, 니케아 신경, 칼케돈 신경 등은 단지 문장 몇 개로 끝나는 문서가 아니라, 교회가 생명처럼 지켜낸 신앙의..
2025. 6.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