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7

도르트 총회와 예정론의 확립(토르트 총회, 알미니우스, 은혜 교리)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 개혁교회는 내부에서 일어난 신학적 논쟁으로 큰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구원의 주도권이 하나님께 있는가, 아니면 인간의 자유의지에 일정 부분 맡겨져 있는가 하는 질문은 단지 교리의 차이를 넘어, 교회의 정체성과 신앙의 본질에 대한 도전을 의미했습니다. 이러한 신학적 갈등은 결국 도르트 총회로 이어졌고, 이 회의는 개혁주의 예정론의 핵심 원리를 정식으로 공표하며 개혁신학의 정통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도르트 총회의 역사적 배경, 알미니우스주의와의 논쟁, 그리고 은혜 중심의 예정론 정립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개혁주의 예정론의 본질과 의의를 살펴보고자 합니다.1. 도르트 총회의 역사와 목적도르트 총회(Synod of Dort)는 1618년부터 .. 2025. 6. 16.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정통 개혁신학(총회, 교리표준화, 장로교) 17세기 중엽, 영국과 스코틀랜드를 중심으로 벌어진 종교적 격변 속에서 개혁주의 신학은 중대한 전환점을 맞이하게 됩니다. 이 시기의 중심에는 바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 문서는 단지 신학 체계를 정리한 문헌이 아니라, 개혁주의 정통 신학의 정수를 담아내고, 이후 수백 년 동안 장로교회와 개혁교회가 신앙과 교회의 질서를 유지해 나가는 데에 핵심 기준이 되었습니다.개혁자들의 사상은 종교개혁 이후 각 지역의 신학적 특성과 역사적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했습니다. 그러나 개혁신학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보편적으로 수용 가능한 표준 신학이 필요했습니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이러한 요구에 대한 응답이었으며, 영국 국교회 개혁의 실패, 장로교 전통의 확립, 성경 중심의 교리 체계 구축이라.. 2025. 6. 15.
개혁주의 구원론의 정립(언약, 선택, 칭의) 기독교 신학에서 가장 중심적인 주제 중 하나는 바로 "구원"입니다. 인간이 어떻게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영원한 생명을 누릴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은 모든 신학 체계의 핵심을 이룹니다. 그러나 이러한 구원의 문제에 대해 시대마다, 전통마다 다른 접근이 존재해왔습니다. 그중에서도 개혁주의 구원론은 하나님 중심적 시각으로 이 질문을 재정립하며, 인간의 자율성과 공로가 아닌 하나님의 주권과 은혜에 방점을 찍는 독특한 길을 제시합니다.이 글에서는 개혁주의 구원론이 어떻게 역사적으로 정립되었는지, 그리고 그것이 언약신학, 선택 교리, 칭의론과 같은 핵심 개념들을 통해 구체화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 주제를 통해 개혁주의 신학이 말하는 ‘하나님의 구속 역사’의 풍성한 지도를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1. .. 2025. 6. 15.
칼뱅의 신학과 제네바 개혁 (기독교 강요, 주권, 제네바 교회) 종교개혁의 불꽃이 루터에 의해 점화되었다면, 그 불꽃에 학문적 정밀함과 제도적 형태를 부여한 인물이 바로 칼뱅입니다. 그는 단지 루터의 뒤를 잇는 개혁자에 머물지 않았습니다. 칼뱅은 전면적인 신학 체계와 도시 개혁의 실천을 통해 개혁주의 신학의 토대를 구축했습니다. 스위스의 작은 도시 제네바는 그의 손길을 거쳐 단지 종교의 도시가 아닌, 하나님의 주권과 말씀에 기반한 교회 공동체의 모델로 변화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칼뱅의 대표작인 기독교강요, 그의 중심 사상인 하나님의 주권, 그리고 제네바 개혁의 사회적 실현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합니다.1. 『기독교강요』를 통해 본 칼뱅의 신학 구조칼뱅의 신학은 그의 대표작인 『기독교강요』(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에 응축되어 .. 2025. 6. 15.
종교개혁의 서막과 루터의 신학(면죄부, 칭의, 성경권위) 16세기 초, 유럽 사회는 교회의 제도화와 권위의 절대화로 인해 점차 내적 긴장과 불만이 쌓여가고 있었습니다. 중세 말기의 교회는 화려한 외형과 권력을 지녔지만, 신학적 진실성과 영적 열정은 쇠퇴한 상황이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타난 마르틴 루터는 단순한 개혁의 외침을 넘어, 기독교 신학의 전환점을 만들어냈습니다. 그의 신학은 중세의 제도적 구조를 뿌리째 흔들었고, 종교개혁이라는 역사적 물줄기를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이 글에서는 루터가 종교개혁의 서막을 열게 된 배경과, 그의 핵심 사상인 면죄부에 대한 비판, 칭의론, 성경 권위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중심으로 다루고자 합니다. 루터의 사상은 단지 그 시대를 향한 도전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오늘날 개혁주의 신학의 출발점이자, 복음 .. 2025. 6. 14.
중세 후기 신학(신비주의, 스콜라주의, 교회 쇠퇴) 중세 후기는 유럽의 정치적 혼란, 흑사병의 창궐, 십자군 전쟁의 실패, 그리고 교황권의 분열 등으로 인해 기존 교회 권위에 대한 신뢰가 급격히 약화되던 시기였습니다. 이러한 시대적 혼란 속에서 한편으로는 철저한 이성적 사유를 통해 신앙의 체계를 정립하고자 했던 스콜라주의, 다른 한편에서는 직접적인 신비 체험을 통해 하나님과의 내밀한 관계를 추구했던 신비주의가 동시에 발흥합니다. 이 두 흐름은 서로 긴장과 상보를 이루며 중세 후기의 신학과 교회 실천, 나아가 유럽 사회 전체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이 글에서는 신비주의, 스콜라주의, 교회 쇠퇴라는 세 가지 핵심 흐름을 중심으로 중세 후기의 사상적 지형을 조망하고자 합니다. 1. 신비주의: 하나님을 만나는 내면의 길신비주의는 하나님과의 인격적이고 직접적.. 2025. 6.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