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7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에큐메니즘, 교회 개혁, 현대화) 20세기 중반 로마 가톨릭교회는 전통성과 현대성 사이에서 심각한 긴장 상태에 놓여 있었습니다. 1962년부터 1965년까지 진행된 제2차 바티칸 공의회(Vatican II)는 이러한 갈등을 구조적으로 직면한 역사적 공의회였습니다. 교황 요한 23세가 소집한 이 공의회는 신학적, 교회론적, 실천적 차원에서 근대성과의 화해를 모색했으며, 가톨릭교회를 전례, 교회 구조, 교회 외부와의 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개혁하도록 이끌었습니다.특히 에큐메니즘, 교회 개혁, 현대화는 바티칸 공의회의 핵심 키워드였습니다. 이 공의회는 더 이상 교회를 폐쇄된 진리 체계로 보지 않고, 시대와 세계와 소통하는 "하나님의 백성"으로 새롭게 조명했습니다. 한스 큉(Hans Küng), 요제프 라칭거(Joseph Ratzinger, .. 2025. 6. 22.
한스 큉과 교회 개혁의 신학 (교회 개혁, 공의회, 보편 신학) 20세기 신학에서 한스 큉(Hans Küng)은 교회의 보수성과 권위주의에 도전하며 현대성과 신앙의 조화를 시도한 대표적 가톨릭 신학자입니다. 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참여하여 교회 갱신의 중심 인물로 활동했고, 이후 교황 무오류 교리를 비판하면서 로마 가톨릭 권위와 갈등을 겪었습니다. 그의 신학은 단순한 교의 해석을 넘어 현대사회와의 소통, 세계종교 간의 대화, 평화의 윤리를 모색하는 데까지 확장되었습니다.본 글에서는 큉의 사상을 교회 개혁, 공의회 참여, 보편 신학이라는 세 개의 주요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그의 사상이 현대 가톨릭 신학은 물론 개신교 신학에도 어떤 도전과 기여를 남겼는지를 고찰하면서, 복음주의와 개혁주의 입장에서의 평가도 함께 제시하겠습니다.1. 교회 개혁: 권위에 대.. 2025. 6. 21.
디트리히 본회퍼의 교회와 공동체 윤리(공동체, 윤리, 저항 신학) 디트리히 본회퍼는 20세기 가장 중요한 신학자 중 한 명으로, 그의 신학은 단순한 이론적 탐구를 넘어 고난과 실천, 나치 정권에 대한 저항이라는 삶의 현실 속에서 형성된 실존적 사유로 특징지어집니다. 그는 공동체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교회의 본질을 새롭게 정의하고, 신앙이 구체적인 삶 속에서 어떻게 실현되어야 하는지를 깊이 있게 탐구했습니다. 본회퍼는 "교회는 세상의 중심에서 그 세상의 가치와 대립하며 존재해야 한다"고 확신했습니다.그의 삶과 신학은 나치 정권의 압제 상황에서도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책임과 공동체 안에서의 윤리적 실천, 그리고 교회가 세상에서 차지해야 할 올바른 위치에 대한 고민을 통해 정립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본회퍼의 공동체 이해와 그의 윤리 신학, 그리고 나치 정권에 맞선 저.. 2025. 6. 20.
폴 틸리히와 상관 신학 (존재론, 문화 해석, 상관 개념) 20세기 전반기는 전쟁, 산업화, 인간 소외, 실존의 불안 등으로 대표되는 격동의 시대였습니다. 철학과 과학은 더 이상 신에 대한 확고한 해석을 제공하지 못했고, 전통 신학은 시대적 질문에 설득력 있게 답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폴 틸리히(Paul Tillich)는 신학이 이 위기 속에서 인간의 실존적 질문에 신앙이 의미 있게 "응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틸리히의 상관 신학(method of correlation)은 인간의 실존적 질문과 기독교 신앙의 응답 사이에 신학적 상관관계를 세우고자 한 시도입니다. 그는 인간의 절망, 죄의식, 소외, 의미 상실 등의 실존적 조건을 철학적으로 규명하면서, 이에 대해 복음이 어떻게 해답을 줄 수 있는지를 설명하려고 했습니.. 2025. 6. 20.
에밀 브루너의 자연신학 논쟁(계시, 자연신학, 신정통주의 논쟁) 20세기 개신교 신학은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신정통주의'의 깊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 운동의 핵심 인물인 칼 바르트(Karl Barth)와 에밀 브루너(Emil Brunner)는 같은 시대적 위기의식과 계시 중심 신학을 공유했음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신학적 견해 차이로 인해 치열한 논쟁을 전개했습니다. 그 논쟁의 중심에는 바로 '자연신학(natural theology)'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이 자리하고 있었습니다.브루너는 인간 존재 안에 여전히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이 남아 있으며, 일반계시와 자연적 인식이 기능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바르트는 타락 이후 인간 이성은 하나님을 인식할 능력을 상실했으며, 인간에게 가능한 유일한 계시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특별계시뿐이.. 2025. 6. 20.
칼 라너의 신학 (초월 신학, 은총 이해, 익명의 그리스도인) 20세기 중반, 로마 가톨릭 신학은 중세 스콜라주의 전통과 교리 중심의 방어적 자세를 넘어서 현대성과 대화하는 전환의 시기를 맞이했습니다. 이 흐름의 중심에는 철학과 신학을 통합한 한 사상가—칼 라너(Karl Rahner, 1904–1984)—가 있었습니다. 그는 철학적 인간학과 실존주의를 신학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초월적 신학(transcendental theology)"이라는 독창적 방법론을 제시했습니다.라너는 '초자연적 실존', '익명의 그리스도인' 등의 개념을 통해 보편적인 은총의 작용 가능성을 탐구하며, 교회 밖에서도 구원이 가능하다는 신학적 해석을 펼쳤습니다. 이러한 해석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으며, 현대 가톨릭 신비주의의 방향을 결정짓는 핵심 축으로 작용했습니다.이 글.. 2025.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