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바티칸 공의회 (에큐메니즘, 교회 개혁, 현대화)
20세기 중반 로마 가톨릭교회는 전통성과 현대성 사이에서 심각한 긴장 상태에 놓여 있었습니다. 1962년부터 1965년까지 진행된 제2차 바티칸 공의회(Vatican II)는 이러한 갈등을 구조적으로 직면한 역사적 공의회였습니다. 교황 요한 23세가 소집한 이 공의회는 신학적, 교회론적, 실천적 차원에서 근대성과의 화해를 모색했으며, 가톨릭교회를 전례, 교회 구조, 교회 외부와의 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개혁하도록 이끌었습니다.특히 에큐메니즘, 교회 개혁, 현대화는 바티칸 공의회의 핵심 키워드였습니다. 이 공의회는 더 이상 교회를 폐쇄된 진리 체계로 보지 않고, 시대와 세계와 소통하는 "하나님의 백성"으로 새롭게 조명했습니다. 한스 큉(Hans Küng), 요제프 라칭거(Joseph Ratzinger, ..
2025. 6. 22.
폴 틸리히와 상관 신학 (존재론, 문화 해석, 상관 개념)
20세기 전반기는 전쟁, 산업화, 인간 소외, 실존의 불안 등으로 대표되는 격동의 시대였습니다. 철학과 과학은 더 이상 신에 대한 확고한 해석을 제공하지 못했고, 전통 신학은 시대적 질문에 설득력 있게 답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폴 틸리히(Paul Tillich)는 신학이 이 위기 속에서 인간의 실존적 질문에 신앙이 의미 있게 "응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틸리히의 상관 신학(method of correlation)은 인간의 실존적 질문과 기독교 신앙의 응답 사이에 신학적 상관관계를 세우고자 한 시도입니다. 그는 인간의 절망, 죄의식, 소외, 의미 상실 등의 실존적 조건을 철학적으로 규명하면서, 이에 대해 복음이 어떻게 해답을 줄 수 있는지를 설명하려고 했습니..
2025. 6. 20.